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2024년 달라지는 금융제도(feat:금융위)

해마다 바뀌는 금융정책 때문에 혼란스럽습니다. 더이상 출저없는 뉴스와 정보로 머리 아파하지 맙시다. 바쁜 현대인을 위해 금융위원회 보도자료에 근거한 '2024년 달라지는 금융제도' 내용을 핵심만 찍어 정리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금융정책에는 '★' 표시했습니다. 1. 금융 이용 부담 ↓ 금융 지원 ↑ *대환대출 인프라 이용대상 확대 -대출대환 인프라(핀다,토스등)를 통해 갈아탈 수 있는 대출의 범위가 기존 신용대출에서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까지 확대됩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 지원 -청년희망적금 만기 도래시 청년도약계좌로의 일시납입을 허용하고, 육아휴직급여도 청년도약계좌 소득요건으로 인정하는 등 청년 자산형성에 적극 지원합니다. *저금리대환 확대개편 -저금리대환 프로그램의 지원대상 대..

카테고리 없음 2024. 1. 17. 01:41
스트레스 DSR 제도 도입

안녕하세요. '경제 + 금융' 인플루언서를 꿈꾸는 12년차 현직 은행원 '예니'입니다. '스트레스 DSR' 들어보셨나요? 혹시 추가대출을 계획하고 있다는 이 개념에 대해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우선 한국의 가계부채 현황을 살펴보면 2023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100.5%로 집계되었습니다. 2021년(105.4%)와 2022년(104.5%)에 비해서 소폭 낮아졌지만 여전히 우려되는 수준입니다. 올해 기준금리 인하가 전망되면서 대출 수요와 저금리 정책자금대출도 대거 풀렸습니다. 또다시 폭팔적으로 가계대출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내놓은 관리 방안은 '스트레스 DSR'입니다. 오늘은 2024년 2월부터 시행될 '스트레스 DSR' 제도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1. '스트레스 DSR..

카테고리 없음 2024. 1. 16. 22:12
홍콩ELS 사태(ELS,ELB 제대로 알자!)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인플루언서를 꿈꾸는 12년 현직 은행원 ‘예니’입니다. 친구 중 한명이 ‘홍콩ELS’ 투자해 원금 반토막나 한숨도 못자고 있다고 어떻게 해야할 지 조언을 구하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뾰족한 해결책이 없어 위로의 말밖에 할 수 없는 상황이 참 안타까웠습니다. 파생결합 금융상품(ELS,ELB)에 대한 충분한 이해없이 섣부른 투자결정은 정말 위험하고 소중한 자산을 순식간에 잃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금번 ‘홍콩ELS’사태와 ‘ELS VS ELB’개념과 투자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홍콩ELS 사태]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원금 손실 규모가 최근 5일만에 1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해당 ELS상품은 홍콩H지수의 등락에 따라 원금 손실이 가..

카테고리 없음 2024. 1. 16. 04:09
2024년 부동산 주요뉴스

안녕하세요. '경제 + 금융' 인플루언서를 꿈꾸는 12년차 현직 은행원 '예니'입니다. 월급쟁이들이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부동산과 주식' 재테크를 해야합니다. 유일한 수단이라고 해도 무방하죠. 요즘처럼 부동산 경기가 불황임에도 불구하고 공부에 손을 놓으면 안됩니다. 그렇기에 이번 포스팅은 현직 은행원이 알려주는 심플하지만 핵심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2024년 1월 '알아두면 유익한 부동산 뉴스'를 살펴보겠습니다. [시장동향] 1. 고가주택 지역 , 저가지역보다 병원 70% 많다 - 고가주택지역 , 저가지역보다 인구 1 만명당 의사수 2 배 넘었습니다. - 중학교 졸업생 , 특목고 및 자사고 진학률은 3 배 높습니다. - 지하철 , 버스노선수도 적습니다. 2. 문턱 높아진 부동산 PF 대출 -수협 ..

카테고리 없음 2024. 1. 16. 02:50
이전 1 ··· 90 91 92 93 94 95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yeeun386@gmail.com | 운영자 :금융전사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