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기준금리가 0.5% → 3.5% 까지 상승하면서 개인, 기업의 이자비용 부담은 폭팔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신용상태와 재정상태가 대출 시점보다 좋아졌다면 '금리인하 요구권'을 행사하여 금리를 인하할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 요구권'의 의미와 신청 방법을 아래 글을 통해 숙지하고 단독 10만원이라도 이자비용 아껴봅시다. 1. 금리인하요구권이란? 개인이나 기업으 금융회사로부터 대출을 받은 다음 신용상태나 상환능력이 대출 당시보다 크게 개선되는 경우 금융회사에 대출금리 인하를 요구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금리인하요구권은 시중은행 물론 저축은행, 카드사, 보험사 등 2금융권에서도 신청할 수 있으며, 상품 역시 신용대출, 담보대출은 물론 개인, 기업대출 모두 적용되는 제도입니다. 2. 주요 시중은행 ..

해마다 바뀌는 금융정책 때문에 혼란스럽습니다. 더이상 출저없는 뉴스와 정보로 머리 아파하지 맙시다. 바쁜 현대인을 위해 금융위원회 보도자료에 근거한 '2024년 달라지는 금융제도' 내용을 핵심만 찍어 정리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금융정책에는 '★' 표시했습니다. 1. 금융 이용 부담 ↓ 금융 지원 ↑ *대환대출 인프라 이용대상 확대 -대출대환 인프라(핀다,토스등)를 통해 갈아탈 수 있는 대출의 범위가 기존 신용대출에서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까지 확대됩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 지원 -청년희망적금 만기 도래시 청년도약계좌로의 일시납입을 허용하고, 육아휴직급여도 청년도약계좌 소득요건으로 인정하는 등 청년 자산형성에 적극 지원합니다. *저금리대환 확대개편 -저금리대환 프로그램의 지원대상 대..

안녕하세요. '경제 + 금융' 인플루언서를 꿈꾸는 12년차 현직 은행원 '예니'입니다. '스트레스 DSR' 들어보셨나요? 혹시 추가대출을 계획하고 있다는 이 개념에 대해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우선 한국의 가계부채 현황을 살펴보면 2023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100.5%로 집계되었습니다. 2021년(105.4%)와 2022년(104.5%)에 비해서 소폭 낮아졌지만 여전히 우려되는 수준입니다. 올해 기준금리 인하가 전망되면서 대출 수요와 저금리 정책자금대출도 대거 풀렸습니다. 또다시 폭팔적으로 가계대출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내놓은 관리 방안은 '스트레스 DSR'입니다. 오늘은 2024년 2월부터 시행될 '스트레스 DSR' 제도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1. '스트레스 DSR..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인플루언서를 꿈꾸는 12년 현직 은행원 ‘예니’입니다. 친구 중 한명이 ‘홍콩ELS’ 투자해 원금 반토막나 한숨도 못자고 있다고 어떻게 해야할 지 조언을 구하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뾰족한 해결책이 없어 위로의 말밖에 할 수 없는 상황이 참 안타까웠습니다. 파생결합 금융상품(ELS,ELB)에 대한 충분한 이해없이 섣부른 투자결정은 정말 위험하고 소중한 자산을 순식간에 잃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금번 ‘홍콩ELS’사태와 ‘ELS VS ELB’개념과 투자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홍콩ELS 사태]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원금 손실 규모가 최근 5일만에 1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해당 ELS상품은 홍콩H지수의 등락에 따라 원금 손실이 가..